file_format

@ 2008-09-26 @
  File Format
1 DDS 포맷
2 PDF화일 다운로드 받지 않고 직접 웹상에서 보려면

FLT = Adobe Illustrator Filter
FLT = Autodesk Animator Animation
FLT = Corel filter
FLT = DLL, Import Filter (Aldus/Micrografx Picture Publisher/Ms Word)
FLT = Filter (generic)
FLT = Graphics FiLTer (Asymetrix ToolBook/Corel)
FLT = MultiGen FLighT
FLT = OpenFlight file(OpenFlight Scene description Database Files)
FLT3 = (MAC FILE_TYPE) Adobe Filter


1 DDS 포맷 #

DDS는 DirectX(이하 DX)의 Texture 포맷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파일 포맷으로 손실압축방식이라 다른 포맷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비디오메모리를 아낄 수 있고, 많은 갯수의 텍스쳐, 큰 크기의 텍스쳐를 적은 용량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다 DDS포맷 용량 그대로 비디오메모리에 올릴 수 있어 높은 퀄리티의 화면을 높은 프레임으로 구현하기가 용이합니다. 현재는 DDS가 거의 모든 그래픽카드에서 가속을 지원한다.

DDS의 태생에 대해 잠깐 알아두자면, 처음에 S3TC포맷을 Savage사에서 개발하자, 3DFX에서 FXT1라는 포맷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러자 S3사가 이 포맷을 NVIDIA, ATI에게 라이센스 해줌과 동시에 DX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게 되었답니다.

아래 Nvidia 사이트에 가면 포토샵에서 DDS를 컨트롤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developer.nvidia.com/object/photoshop_dds_plugins.html

포토삽에 설치하려면, 굳이 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이 글에 첨부한 파일(dds.8bi)을 포토샵이 설치된 폴더 아래에 있는 Plug-Ins/Import-Export 폴더에 넣어주시면 된다.

각각의 선택기준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만 DXTn 포맷만이 손실압축이고 그 외의 포맷은 비손실 압축이다.

1. DXT1 RGB(No Alpha) : 알파채널이 없는 이미지일 경우 (칼라는 4단계로 보간)
2. DXT1 ARGB(1bit alpha) : 알파채널이 있지만 alpha test의 용도로만 쓰는 경우(칼라가 3단계로 보간되므로 DXT1 RGB보다 약간 퀄리티가 떨어짐)
3. DXT3 ARGB(Explicit Alpha) : 알파채널이 있는 이미지 (칼라는 4단계로 보간되고 알파는 4비트로 표현)
4. DXT5 ARGB(Interpolated) : 알파채널이 그라데이션 스타일인 경우 DXT5를 쓴다. (칼라는 4단계로 보간되고 알파는 8단계로 보간되므로 품질이 가장 좋음)

그외의 포맷은 4:4:4:4 ARGB는 ARGB(Alpha, Red, Green, Blue)의 심도가 각각 4bit이고, 1:5:5:5 는 Alpha=1bit(알파채널이 있다,없다만 표시), Red=5bit, Green=5bit, Blue=5bit 이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DXTn 포맷으로 저장하려는 이미지의 사이즈는 2의 승수가 되어야 한다.(2,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 PDF화일 다운로드 받지 않고 직접 웹상에서 보려면 #

PDF파일은 어도비에서 만든 어크로벳의 e-book파일로, IE 와 연계가 되어 있어서 PDF 리더를 설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PDF 리더기가 작동하여 파일을 불러오게 된다.

따라서 PDF를 보기위해서는 사용자 컴퓨터에 어크로벳리더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하며
또는 어크로벳리더 ActiveX가 설치 되어 있어야지만 웹 상에서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어크로벳리더 ActiveX가 설치된 컴퓨터에서는 직접 PDF 파일이 웹페이지상에 뜨게 되어 있고,
어크로벳리더 ActiveX가 설치 되어 있지 않는 컴퓨터에서는 다운로드 된다.

웹상에서 바로 보여지게 하기 위해서는 어크로벳리더를 최신버전으로 받아 설치한다.

그러나 가끔 불러오지 못하는 경우엔 혹은 불러와도 에러가 나는 경우엔 IE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많은 인터넷의 사용으로 인한 액티브 X 설치라든지 IE 내부에 동작되는 것들의 충돌로 인해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알려질 뿐이지 더이상의 해결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

우선은 도구에 추가기능 관리에서 현재 사용되는 액티브 X 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고 사용하지 않는 것은 사용안함으로 하시고 유틸들을 종료시키고 메모리를 가볍게 한 후 다시 시작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