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Wiki메모장_시스템
Login:
Password:
대문|찾기|바뀐글|목록|메모장|책갈피|연꽃|링크
Edit Diff Reload Search Print Info Mail Help RSS

@ 2009-02-16 @
  메모장_시스템
1 헬게이트 실행
2 Windows 7
2.1 Windows7 (윈도우7)에서 입력도구모음 사라짐 현상 해결 방법
2.2 Windows Server 2008 R2, 한글 입력기가 표시가 안되는 경우
2.3 윈도우 7 한글입력이 안 될 때, 한국어 입력 시스템(MS-IME2002)를 설치
2.4 appcompat.txt 오류 보고
2.5 기본 테마 중 'Windows 고전' 사용시 고려 사항
3 Windows XP
3.1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시 파일 복사 설정 / @ 2013-06-08 @
3.2 마우스 커스만 보이는 경우 / @ 2013-05-21 @
3.3 부팅오류..다음파일이 없거나 손상되어.. 해결방법/ @ 2009-02-16 @
3.4 XP도 시스템파일복구 수동으로 복구/ @ 2009-02-16 @
3.5 xp 부팅에러(Unmountable Boot Volume" Win XP) 복구방법
4 시스템
4.1 기본 프로그램 셋팅
4.2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 관리
4.2.1 MS compiler cl.exe
4.2.2 RTHDCPL.exe ; 리얼텍 사운드 관련 프로세스
4.2.3 mDNSResponser.exe ; PhotoshopCS3 설치시 등록
4.3 본체에서 비프음이 나는 경우
4.4 열려 있느 포트 확인하는 방법
5 하드웨어
5.1 USB의 메모리 종류 : 성능수명이 SLC>MCL>TLC 순으로
5.2 2013.01.참고 PC 사양
5.3 인터넷 공유 - 크로스케이블 + 랜카드 3장
6 기타
6.1 게임의 그래픽 옵션, 알아야 제대로 즐긴다
6.2 HHCTL.OCX ActiveX control/ @ 2009-02-16 @
{_s} 메모장_Tool Tip
{_r} 메모장으로 돌아가기

1 헬게이트 실행 #

◈ 실행 오류
#.데이타 파일을 불러오지 못해서 실행시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음
--> 폴더명을 영문으로 설정
The application was unable to load initial data.
Please check the installation path.


◈ 게시판 Q&A에서 발취한 내용
#.프로그램 실행권한 설정 때문에 실행이 안되는 경우

윈도우7, 윈도우 비스타 OS환경에서 헬게이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 발생

바탕화면의 헬게이트 실행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 → 속성 → 호환성 → '관리자 권한으로 프로그램 실행' 체크 후 실행

#.메모리 클럭수와 용량을 적절히 조율해서 봐야합니다.
메모리 용량이 무조건 크다고 좋은건 아닙니다.
흔히 그래픽 카드 구입할때 보면 기본 코어는 같은데 메모리가 256M/512M 요렇게 두가지가 있고 가격은 비

슷한 경험을 해보셨을겁니다.
이런 경우 자세히 보면 대부분 512M의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클럭이 낮다는 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hellgate.exe 클릭>> 우선순위설정>> 실시간 으로 수정

#.쿼드코어 사용자를 위한 fps 향상법(렉,멀티코어)
헬게이트는 멀티코어를 지원 하지 않습니다. 듀얼 cpu는 모르겠지만, 쿼드cpu는 확실하게 지원을 하지 않으므로 수동으로 '선호도업' 이라는걸 해주어서 멀티코어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약 10정도의 프레임 상승이 있었습니다.

1. 헬게이트를 실행합니다.
2. ctrl + alt + del 키를 누릅니다.
3. 작업관리자를 실행합니다.
4. 프로세스 텝으로 이동하여 hellgate.exe 를 찾아 오른쪽 클릭을 합니다.
5. 선호도를 선택합니다. (키보드 단축키 a를 누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6. 0번 시피유를 체크 해제한 후 확인을 누릅니다.
7. 다시 hellgate.exe에 오른쪽 클릭을 한 후 선호도를 선택합니다. (5.번)
8. 0번 시피유를 체크 한 후 확인을 누릅니다.

작업후, 1,2,3번 cpu의 그래프가 약간 올라간 것과 fps가 약 10정도 상승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fps) ↓
cf.6번까지만 하라는 내용도 있음


2 Windows 7 #

2.1 Windows7 (윈도우7)에서 입력도구모음 사라짐 현상 해결 방법 #

입력도구모음은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한/영 변환이나 한자 입력 시 사용

1. 일단 사라진 입력도구모음 메뉴 재시작
/ 실행창 실행 ; 윈도우키(Ctrl , Alt 사이에 윈도우 아이콘 모양의 키) + R 을 눌름
/ 실행창에 "ctfmon.exe" 를 입력

2.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다시 사라져서 매번 실행시켜줘야 되는 경우도 발생
/ 제어판 > 보기 기준을 "작은 아이콘"으로 바꿔주시고, 가 및 언어 메뉴를 선택
/ (키보드 및 언어)탭 > (키보드 변경) 클릭!
/ (입력 도구 모음) 아래 사항 설정
--작업 표시줄에 고정 체크!
--작업 표시줄에 추가 입력 도구 모음 아이콘 표시
정상적이라면 위 작업들로 입력 도구 모음이 항상! 항시! 작업표시줄 오른쪽에 존재

3. 재부팅 후 똑같이 사라지는 경우,
재부팅 할 때마다 입력도구모음을 실행하도록 시작 프로그램에 넣어준다.
/ C:\Windows\system32\ctfmon.exe --> 시작 프로그램에 복사

2.2 Windows Server 2008 R2, 한글 입력기가 표시가 안되는 경우 #

-. 시작시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레지스트리에 CTFMON.EXE 등록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n\ Run
문자열 등록 ; "ctfmon"="C:\\WINDOWS\\system32\\ctfmon.exe"

2.3 윈도우 7 한글입력이 안 될 때, 한국어 입력 시스템(MS-IME2002)를 설치 #

1.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설정 실행
/ 키보드 및 언어 > 키보드 변경 버튼 클릭

2. 기본 입력 언어 추가
/ 한국어(대한민국) - 한국어 입력 시스템((MS-IME2002) 추가

2.4 appcompat.txt 오류 보고 #

appcompat.txt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오류내용을 전송하는 파일로
appcompat.txt 문제 원인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오류의 유형이 다양해서, 종류에 따라 심각한 오류도 있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창만 귀찮게 떠는 경우가 있다.

▷ 오류 보고 중지 (Windows 7)

제어판\ 모든 제어판 항목\ 관리 센터> 유지 관리(M) 확장
/ 문제 보고서에 대한 해결 방법 확인> 설정
--> 보고 대상에서 '제외할 프로그램 선택(P)' 선택해서, 문제 보고를 보내지 않도록 설정

▷ 참고 사이트
http://skydreamer-textcube.blogspot.kr/2010/02/appcompattxt%EC%98%A4%EB%A5%98-%ED%8E%8C.html
http://blog.daum.net/pig59/10601119
http://qaos.com/article.php?sid=1534

2.5 기본 테마 중 'Windows 고전' 사용시 고려 사항 #

@ 2010-12-20 @
windows 7 > 제어판 > 모양 및 개인 설정 > 테마 변경
#.기본 테마 중 'Windows 고전'을 사용할 때 Editer tool에서 Editer Box 등이 제대로 control되지 않는 경우 발생
--> 다른 테마를 Windows 고전 형식으로 수동 조작
▶ Arro 테마 중 'Windows 7' 선택
-1. Windows 고전 형식으로 색과 바탕화면 설정
-2.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시스템 설정에서 '고급탭', '성능' 옵션에서 시각 효과를 적절히 선택


3 Windows XP #

3.1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시 파일 복사 설정 / @ 2013-06-08 @ #

원격 컴퓨터의 바탕화면을 보면서 마우스와 키보드를 통한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 조작 등의 작업을 고스란히 할 수 있다. 윈도200X 서버 계열이 아닌 일반 XP 계열에서는 다만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는 없지만 개인 컴퓨터를 원격지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 그리고 고정된 IP만 있다면 거의 별다른 세팅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이다.

아이피 혹은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 이름을 알고 있다면 ip를 통해서 해당 컴퓨터의 드라이브에 접근하는 것도 XP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 중의 하나인데, 당연히 원격 데스크톱에서도 작업 중인 컴퓨터로 파일을 복사해 오는 것이 가능하다.

1.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행 (mstsc)
2.'옵션' 버튼 클릭
3.'로컬리소스' 탭 > 로컬 장치 및 리소스
-1.드라이브 옵션 선택
; 원격 연결을 한 원격 컴퓨터의 '내 컴퓨터' 항목에서 드라이브 네트워크로 표시
-2.소리는 끄는 것이 바람직, 원격 컴퓨터에서 음악을 재생하면 다른 작업이 느려짐

4.'작업 환경 탭' > 성능
-1.'비트맵 캐싱'을 제외한 다른 항목은 체크 해제
-2.오피스 2007을 사용할 경우 '글꼴 다듬기'도 체크

3.2 마우스 커스만 보이는 경우 / @ 2013-05-21 @ #

윈도우 XP, 부팅시 바탕화면 아이콘 및 시작표시줄 등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고, 안전모드로 실행해도 같은 현상

1.원인
-.윈도우의 핵심 dll 파일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포맷까지는 안해도 됨
다른 dll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이 경우 ws2_32.dll과 ws2help.dll이 감염되었을 확률이 높음
(감염된 ws2help.dll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커고, 이름이 변형된 파일이 존재)

-.Adobe Flash Player 구버전의 취약점을 이용해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를 퍼트리거나 시스템을 변경시킬 가능성도 있음

2.해결
-1.다른 정상적인 컴퓨터에서 ws2help.dll 파일을 복사해서 이상 증상이 있는 컴퓨터의 ws2help.dll을 덮어씌운다.
-2.정상적인 컴퓨터에 감염된 하드디스크를 붙여서 바이러스 검사를 실행
-3.Adobe Flash Player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4.Windows Update 사이트에 접속 윈도우즈 보안업데이트를 실행
-5.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전체 검사를 실행

3.3 부팅오류..다음파일이 없거나 손상되어.. 해결방법/ @ 2009-02-16 @ #

* 오류 메세지 :
다음 파일이 없거나 손상되어 WinDows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WINDOWS\SYSTEM32\CONFIG\SYSTEM

* 해결방법
① 윈도우XP 설치 CD로 '복구콘솔'로 이동
② 듀얼부팅 첫 번째 운영체제일경우 '숫자 1'입력후 터버튼
③ 아래와같이 입력후 터버튼
copy c:\windows\repair\system c:\windows\syste32\config\system
라고 입력후 덮어 씌우시겟습니까? 라는 물음에 (Y) 터버튼
④ exit 라고 입력후 재부팅

3.4 XP도 시스템파일복구 수동으로 복구/ @ 2009-02-16 @ #

98 sfc에서 처럼
시작 -> 실행 -> sfc /scannow 치고 확인 누르면 복구 창이 뜹니다.
대신 XP 시디가 있어야 됩니다. XP CD가 있어야만 복구가 가능합니다.

3.5 xp 부팅에러(Unmountable Boot Volume" Win XP) 복구방법 #

@ 2009-09-16 @
컴퓨터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정상동작이 진행이 않되고 모니터화면이 푸른색으로 변화며 " Unmountable Boot Volume" Win XP 에러 발생시 복구방법이다.

고장원인은 --> boot.ini 손상

<복구방법>
#. winxp cd를 이용하여 cd-rom부팅후 모니터 화면의 메뉴에서 < winxp 복구선택 -->키보드 R 키를 누르면 도스 프롬프트 ( C:\>: )
C:\>CHKDSK /P 를 입력후 엔터키를 누른후
C:\>FIXBOOT 를 입력후 "Y" 키를 누른후
C:\>EXIT 를 누르면 리부팅 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4 시스템 #

4.1 기본 프로그램 셋팅 #

@ 2009-12-08 @
개인이 사용할 때만 무료이고, 회사나 단체인 경우에는 유료인 경우도 있음.

GoClean ; www.gobest.co.kr - 레지스트 정리
XnView ; www.xnview.com/en/index.html - 이미지 뷰어(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다양한 파일도 볼 수 있도록 지원)
nProtect 엔핀 NPIN ; www.npin.co.kr - nProtect 해킹방지 프로그램
freemind ; freemind.sourceforge.net/ - free mind mapping software
cf. Java Runtime Environment 1.4 or later 버전이 필요
Speccy ; www.piriform.com/speccy - 깔끔한 시스템 정보 유틸리티

● 웹브라우저가 자동으로 꺼지는 문제 해결 - 익스플로러, 크롬 등
; V3 GameHack Kill 전용백신 ( www.ahnlab.com/kr/site/download/vacc/vaccView.doseq=105 )


4.2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 관리 #

4.2.1 MS compiler cl.exe #
@ 2009-06-30 @
출처 ; http://blog.naver.com/hite95?Redirect=Log&logNo=100009695232

CL.exe는 Microsoft사에서 만든 컴파일러로, C C++로 작성된 소스를 컴파일한다.
Visual Studio6.0을 설차하면 보통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Bin 폴드에 CL.exe로 설치가 된다.
위의 경로를 내 컴퓨터의 환경변수에 설정을 해주게 되면 도스창 어디에서든 컴파일이 가능하다.
하지만 MSPDB60.DLL을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오면
Microsoft Visual Studio가 설치되면서 어딘가에 위의 DLL파일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파일을 복사해서 bin 폴더에 복사해주면 컴파일이 가능하다.

4.2.2 RTHDCPL.exe ; 리얼텍 사운드 관련 프로세스 #
@ 2010-01-29 @
리얼텍 Realtek HD Aidio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윈도우즈에 등록되는 프로세스로
프로세스정보를 보면 Realtek HD Audio Sound Effect Manager 컨트롤 판넬이라고 나옴.

효과 및 사운드장치설정을 할수있는 프로세스이나 반드시 있어야할 프로세스가 아니며,
메모리 소모가 크기 때문에 시작프로그램에서 삭제.

#. 삭제방법
시작-실행-regedit.exe을 실행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아래의 리얼텍관련 프로세스를 삭제한다.
RTHDCPL.EXE
Alcmtr.EXE
SKYTEL.EXE

4.2.3 mDNSResponser.exe ; PhotoshopCS3 설치시 등록 #
@ 2010-01-28 @
PhotoshopCS3 설치시 설치되며, 매 30분마다 체크해서 로컬네트워크를 통해 소스를 보내며,
애플의 아이튠즈와 아이포트의 시스템 자원을 나눠서 사용

Adobe CS3 버전부터 Apple사의 Bonjour network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알려진 바로는 컴퓨터의 리소스를 많이 잡아 먹어 시스템을 버벅 거리게 함.

#.Bonjour 삭제하기
1. 명령 프롬프트을 연다 // 시작-실행-cmd 입력
2. Bonjour service인 mDNSResponder.exe 로 간다.
- 설치된 경로 : C:Program Files-Bonjour
3. 윈도우의 bonjour 서비스 삭제
- C:Program Files\Bonjour>mDNSResponder -remove
4. 파일명 변경
- C:Program Files\Bonjour>ren mdnsNSP.dll mdnsNSP.old
5. 재부팅 한다.
6. C:Program Files-Bonjour 폴더 삭제한다.

cf. Adobe TechNote ; http://kb2.adobe.com/cps/400/kb400982.html
: Bonjour 설치된 이유, 어떻게 시작되고, 삭제하는 방법 소개.


4.3 본체에서 비프음이 나는 경우 #

@ 2009-08-24 @
1. 길게 날 경우 ; 램 접촉 불량 (무한 비프음 발생)
2. 짧게 날 경우 ; 비디오 카드 접촉 불량

4.4 열려 있느 포트 확인하는 방법 #

@ 2009-08-23 @
1. CMD
2. netstat -an
-. ESTABLISHED로 표시되는 포트가 있는 경우, 원격접속이나 백도어 등을 의심할 수 있으며 백신 검사등을 실시
-. 일반적인 경우; :80, :1028, :4500, :1900, :1246



5 하드웨어 #

#.무선인터넷 공유기 설치방법 (blog.daum.net/suicide0214/26)

5.1 USB의 메모리 종류 : 성능수명이 SLC>MCL>TLC 순으로 #

usb의 메모리 칩셋은 셀당 가질 수 있는 비트에 따라 SLC, MLC, TLC로 나눕니다.
그리고 usb 특성 상 같은 칩셋이라도 컨트롤러에 따라 속도 차이가 꽤 나는 편입니다.

SLC (Single Level Cell) ; 메모리 셀 하나에 1 비트를 저장하는 기술
- 특징 : 가격이 비싸지만 전송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다.
- 수명 : 10만 회
- 속도 : 50~100k (cycle 당)

MLC (Multi Level Cell) ; 메모리 셀 하나에 2비트를 저장하는 기술
- 특징 : 가격이 다소 비싼 SLC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기술로, 속도는 SLC보다 느리고, 수명도 SLC 보다 절반 정도
- 수명 : 1만 회
- 속도 : 5~10k (cycle 당)

TLC (Triple Level Cell) ; 메모리 셀 하나에 3비트를 저장하는 기술
- 특징 : 가격이 저렴하지만 속도가 느립니다.
- 수명 : 1000 회
- 속도 : 1~3k (cycle 당)


SLC
- 자주 큰 데이터 이동을 하는 분 ; 일러스트나 포토샵을 자주 이용하는 그래픽디자이너
- 중요한 실 데이터를 취급하는 분
- usb메모리에서 직접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담고 다니는 분

MLC
- 사진이나 문서, 음악 파일 등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
- 대용량의 파일에 사용할 경우, 답답함을 느끼며 어떠한 콘트롤러를 달았느냐에 따라 속도라 달라질 수 있음
- AS 기간 확인하고 구입 (TLC 제품은 수명이 짧기 때문에 AS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TLC
- 작고 간단한 데이터 이동용으로 사용하는 분
- 없어져도 문제되지 않는 데이터를 취급하는 분으로 1~2년 정도 제품을 사용하려는 분들에게 적합
- 백업용으로 사용하는 분

5.2 2013.01.참고 PC 사양 #

@ 2013.01.11. (from 박기연) ; (주)준투유
번호 제조사 브랜드 부품명 수량 판매금액
01 Seagate (하드디스크) 2TB Barracuda ST2000DM001 (STAT3/ 7200/ 64M) 1 117,000 원
02 POWEREX (파워) REX III 600W Triple V2.3 1 051,500 원
03 인텔 코어I5-3세대 (CPU) 3570 (정품) 1 236,000원
04 삼성전자 (메모리) DDR3 4G PC3-12800 (정품) 2 047,000 원
05 로지텍 (마우스) G1 Opticla Mouse (정품벌크) 1 017,000 원
06 스카이디지탈 (키보드) nKEYBOARD nKey-1 1 027,500 원
07 삼성전자 (ODD) Super-WriteMaster SH-224BB (블랙 정품벌크) 1 021,000 원
08 마이크로닉스 (케이스) GLADIUS USB 3.0 레드 1 025,000 원
09 이엠텍 XENON (그래픽카드) 지포스 GTX650 TiMAXX D5 1GB 1 174,000 원
10 ASRock (메인보드) B75M R2.0 디앤디컴 1 073,000 원
구매상품 합계 789,000 원 + 배송비 5,000 원 = 총액 794,000 원

@ 2013.04.02. (from 이지영)
ipTIME N704BCM 무선공유기/스마트폰/와이파이/무상AS보증/무료체험/안테나 3개 \ 31,900



5.3 인터넷 공유 - 크로스케이블 + 랜카드 3장 #

1. 크로스케이블+랜카드3장의 구조
크로스케이블+랜카드 3장의 인터넷 공유는 매우 간단하다.
외부회선 - 서버PC - 클라이언트PC
대략 이런 구성이다.

서버PC - 외부와 연결될 PC
랜카드 2장이 설치된다. 클라이언트PC에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클라이언트PC
랜카드 1장이 설치된다. 서버PC가 켜져 있어야 인터넷이 가능하다.
크로스케이블
서버PC와 클라이언트PC를 연결한다.

2. 준비물
현재 PC 2대가 이미 준비되어 있고 각각의 PC 별로 랜카드가 1장씩 있다면
추가적으로 필요한 준비물은 랜카드 1장 + 크로스케이블 정도가 되겠다.

크로스케이블은 주변의 PC 관련 가게가 있다면 미터당 얼마씩 판매한다.
두 대가 멀지 않다면 대충 몇천원이면 된다.
랜카드 역시 몇천원선이므로 만원 이내에서 해결된다.

3. 랜카드 구성
서버쪽 PC에 두 장(편의상 A,B)을 달아준다.

랜카드 A
외부회선과 연결한다.
설정,연결케이블 기타 등등 1대의 PC로 쓸 때와 완전히 동일하게 해줘도 된다.
단, 랜카드 A로 인터넷공유를 하므로 공유 관련설정이 필요한데
마소의 OS라면 설정정보에서 '이 장치로 인터넷 공유함' 따위의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랜카드 B
크로스케이블로 클라이언트PC의 랜카드 C와 연결한다.
IP : 192.168.0.1
SubnetMask : 255.255.255.0

설정은 위의 두가지만 해주면 된다.
이 랜카드는 클라이언트와의 통신만 담당하므로 그 외 게이트웨이,DNS 등은 필요가 없다.

랜카드 C
크로스케이블로 서버PC의 랜카드 B와 연결한다.
IP : 192.168.0.2
SubnetMask : 255.255.255.0
Gateway : 192.168.0.1
DNS : 192.168.0.1

IP는 192.168.0.2~192.168.0.254 사이의 아무 것이나 가능하다.
SubnetMask를 랜카드 B와 동일하게 해주므로 두 PC간의 네트워킹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인터넷공유와는 별개의 사항이다.)
DNS는 랜카드 B의 IP를 선택했는데 직접 IPS의 DNS를 적어도 무방하다.



6 기타 #

6.1 게임의 그래픽 옵션, 알아야 제대로 즐긴다 #

@ 게임동아 2010-09-30 ( http://www.gamedonga.co.kr/gamenews/gamenewsview.asp?sendgamenews=42056 )
복잡한 옵션 용어, 간단하게 알아보자

온라인 게임이나 PC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이라면 자신의 PC에서 게임이 원활하게 구동이 되지 않아 당혹스러웠던 경험을 누구나 한 번 정도는 가지고 있을 것이다.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각종 게임 커뮤니티와 PC 하드웨어 커뮤니티에 질문을 남기고 자료를 찾다보면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말이 있다. 바로 ‘그래픽 옵션 타협’이라는 문구가 그 주인공이다.

‘그래픽 옵션 타협’이라는 말은 게임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게임의 각종 특수 효과를 줄여 PC에 걸리는 과부하를 줄이는 작업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최고 수준의 그래픽을 포기하는 대신에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조정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PC, 온라인 게임들은 ‘상, 중, 하’ 또는 ‘높음, 중간, 낮음’ 등 게임 개발사 측에서 미리 제공하는 단계별 그래픽 옵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게임들은 까다로운 게이머들의 입맛에 맞게 스스로가 자신의 PC에 맞는 그래픽 수준을 일일이 설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그래픽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그래픽 옵션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PC 하드웨어나 게임에 어지간히 익숙하지 않은 이들에게는 너무나 난해한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즉, 이런 용어를 모르고서는 자신의 PC 사양에 맞는 그래픽 옵션 설정을 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게임의 그래픽 옵션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용어들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이들 용어는 각각 기능을 하는 것일까? 대표적인 용어들의 사례를 들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대부분의 게임의 그래픽 옵션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어라면 단연 안티 앨리언싱(이하 AA)와 비등방성 필터 및 수직동기화 항목을 들 수 있다. AA는 2D와 3D으로 그려지는 이미지에서 거칠게 그려지는 외곽선을 부드럽게 처리하는 기술을 통틀어 의미한다.

이미지의 외곽선이 거칠게 표현되는 통칭 ‘계단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AA는 그래픽을 보다 깔끔하게 만들어준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깨어져서 그려지는 외곽선 사이에 근사값을 일일이 넣어주는 까다로운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높은 성능의 그래픽카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자신의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라면 AA 옵션을 아예 활성화시키지 않거나 2배 정도로 낮춰 두는 것이 좋다.

비등방성 필터는 원거리에 있는 이미지를 선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MMORPG, FPS, 레이싱 게임을 즐기다보면 멀리 있는 배경이 그려지지 않다가, 갑자기 솟아오른다거나, 멀리 있는 바닥의 텍스쳐가 흐릿하게 보이는 경우 및 음영이 정확하게 묘사되지 않는 경우를 종종 접할 수 있다.

비등방성 필터는 이런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그래픽 옵션으로 AA와는 달리 그래픽카드에 크게 부하를 주지 않기 때문에, 타 옵션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설정값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AA와 비등방성 필터가 그래픽의 품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옵션이라면 수직동기화(Vertical Sync)는 게임의 플레이를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옵션이다. FPS 게임을 많이 즐기는 게이머들이라면 시점을 빠르게 전환할 시에 화면이 물결처럼 일렁이거나 화면의 상단과 하단의 시점이 조금 다른 타이밍으로 움직이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그래픽카드가 처리하는 게임의 프레임을 모니터의 최대주파수가 따르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다. 아무리 그래픽카드가 높은 수치의 프레임으로 그래픽을 처리해도, 모니터는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프레임 이상의 화면은 표현하지 못하는 하고, 모니터는 자신이 미처 처리하지 못한 프레임을 처리하려다보니 이 둘 사이의 격차가 미묘하게 찢어지고 일렁이는 화면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직동기화는 이런 물결현상과 화면 찢어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게임의 프레임을 모니터의 주파수에 맞춰 보다 강제로 프레임을 고정시켜 움직임이 부드럽게 표현되도록 돕는 기술이다. 즉, 수직동기화 옵션을 통해 표현되는 60프레임이, 수직동기화 없이 표현되는 100프레임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인다. 어차피 인간의 눈은 60프레임 이상의 움직임은 구별할 수 없기에, 찢어지고 일렁이는 100프레임보다 안정적인 60프레임 화면이 더욱 부드럽게 보인다는 것을 이용한 기술이다.

또한 60프레임 이하의 화면은 30, 15 프레임으로 일정 비율을 유지하며 주사하기 때문에 게임의 프레임이 하락하는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인 화면을 보여주며 쾌적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문제는 강제적으로 프레임을 조정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그래픽카드에 상당한 부하를 주는 옵션이라는 것이다. 만약 자신의 PC 사양이 충분하지 않다면, 우선적으로 차단해야 하는 대표적인 옵션이다.

한편, 최근에는 이런 일반적인 용어 이외에도 셰이더나 HDR과 같은 좀 더 전문적인 옵션까지 게이머들에게 선택권이 주어지고 있다.

셰이더는 일반적으로 음영 표현을 통해 사물의 질감을 보다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다. 셰이더 옵션을 활성화 할 경우에는 빛의 방향과 그에 따라 생기는 그림자의 방향에 따라 사물의 질감과, 공간 전체의 느낌을 살릴 수 있다. 셰이더 옵션이 높아질수록 사물의 질감이 사실적으로 묘사되며,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밋밋한 사물 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언리얼 엔진 3를 사용한 게임처럼 최신 엔진을 사용한 게임들이 셰이더 3.0을 지원해 보다 사실적인 질감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낮은 경우에는 게임의 프레임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으며, 구형 그래픽카드의 경우에는 아예 셰이더 3.0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그래픽카드가 셰이더 버전을 어디까지 지원하는 지를 알아두는 것도 쾌적한 게임 환경 구축을 돕는 지름길이다.

HDR은 ‘High Dynamic Range'의 약자로 색의 명암과 빛의 밝기는 전반적인 암부 표현을 사실적으로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HDR을 통해 표현되는 대표적인 연출이라면 어두운 곳에 있다가 야외로 나갈 시에 느낄 수 있는 눈부심, 반대로 야외에 있다가 어두운 곳으로 들어갈 때 시야가 어둡게 보이는 연출들을 꼽을 수 있다.

그래픽카드에 주는 부하의 정도는 중간 수준이지만, 순간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FPS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의 경우는 갑자기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는 화면 때문에 적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해당 옵션을 제거하고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 온라인게임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지만, PC 게임에서 저변을 차츰차츰 확대하고 있는 기술로 피직스(Physx) 물리 엔진이 있다. 피직스는 고체들의 물리적 상호 작용에 강점을 두고 있는 하복 엔진과는 달리 천이나 종이 등의 사실적인 움직임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 엔진이다.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이 저렇다보니 피직스 물리 효과를 활성화 시키는 경우에는 바람에 흩날리는 종이와 천, 나부끼는 깃발,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라 사실적으로 흔들리는 복장 등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피직스 물리 효과는 태생적인 단점을 안고 있다. 바로 엔비디아에서 제작한 8000시리즈 이상의 그래픽 카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AMD(구 ATI)의 그래픽카드에서도 소프트웨어 가속을 통해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할 수는 있지만 피직스 엔진 자체가 애초에 소프트웨어가 아닌 엔비디아 계열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한 엔진이기 때문에 AMD의 그래픽카드에서 피직스 엔진을 사용하면 심각할 정도로 프레임이 하락하게 된다.

6.2 HHCTL.OCX ActiveX control/ @ 2009-02-16 @ #

2005년 1월 12일 MS사에서 "도움말의 취약점으로 인한 코드 실행 문제"에 대한 보안 패치를 발표하였습니다.(MS05-001)

이 보안패치를 적용하게 될 경우 웹 상에서 HHCTL.OCX ActiveX control 기능이 disable 되며, 결과적으로 더 이상 HHCTL.OCX ActiveX control 기능을 사용하는 HTML help 파일을 볼 수 없게 됩니다.


{_r} 메모장으로 돌아가기

July, 2025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Say it, don't spray it!"

책갈피_3D캐릭터애니메이션프로그래밍
메모장_BTS(BugTrackingSystem)
edu2015_박재희교수_춘추고사
책갈피_Sand06
last modified 2015-04-07 14:40:07
고치기|찾기|쪽 지우기|비슷한 쪽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d by MoniWiki
0.2523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