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06-25 @
KOCCA : 11가지 법칙으로 끝내는 스토리텔링
|
- 1 작품의 수준은 쓰기 전에 결정된다
- 1.1 취재의 중용성을 이해하라.
- 1.2 나만의 취재 노하우를 만들어라.
- 1.3 취재 및 기회의 여러 요소를 활용하라.
- 1.4 작품의 세계관을 파악하라.
- 2 강화된 캐릭터에서 생명력을 얻는다
- 2.1 기획 단계에서 캐릭터를 선정한다.
- 2.2 상처와 약점의 크기는 매력에 비례한다.
- 2.3 캐릭터는 사건만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 뚜렷한 개성을 요구한다.
- 3 절묘한 용병술로 캐릭터를 움직여라
- 3.1 캐릭터를 움직여라.
- 3.2 캐릭터의 역할을 분담하라.
- 3.3 캐릭터의 선명성을 강화하라.
- 3.4 캐릭터를 변화시켜라.
- 3.5 캐릭터를 사건에 빠뜨려라.
- 4 디테일이 살야야 작품이 산다
- 4.1 플롯이란 무엇인가.
- 4.2 비슷한 구성도 작가의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
- 4.3 플롯의 유형을 이해하라.
- 4.4 포르자와 포르다를 파악하라.
- 4.5 디테일에 모든 것이 달려있다.
- 5 의심스러운 화자와 다양한 라이벌로 극적 긴강을 높인다
- 5.1 이야기와 화자는 허구적이다.
- 5.2 화자의 종류는 스토리텔링에서 중요한 포인트이다.
- 5.3 낭독(하는) 화자는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5.4 라이벌의 기능을 이해하라.
- 5.5 힘의 구도에 따라 라이벌의 종류는 달라진다.
- 5.6 라이벌 캐릭터의 개성을 활용하라.
- 6 위기와 기회 동시에 불러들이기. 그리고 로맨스
- 6.1 스토리상의 위기와 기회도 이항대립쌍이 될 수 있다.
- 6.2 스토리텔링의 고수들은 '8'자 기법을 즐겨 쓴다.
- 6.3 로맨스 플롯의 요건을 생각해야 한다.
- 6.4 매체별 로맨스 플롯의 의존도를 고려한다.
- 7 장르의 조건에 따라 스토리를 조정한다
- 7.1 미디어 변용을 하라.
- 7.2 비주얼 아트의 스토리텔링에서 이것만은 주의하라.
- 7.3 서로 다른 언어를 이해하라.
- 7.4 만화 원작 <식객>의 미디어 변용을 참고하라.
- 8 긴장과 이완의 반복이 계속되는 긴장보다 강하다
- 8.1 스토리텔링은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해야 한다.
- 8.2 시간은 비약하고, 장면은 전환하라.
- 8.3 반전은 큰 충격을 가져온다.
- 8.4 강약의 리듬을 타라.
- 8.5 비탈에 굴리면 눈덩이는 커진다.
- 9 이야기, 이미지 그리고 음악의 절묘한 조화가 있다
- 9.1 글, 이미지, 음악의 삼위일체를 만들어라.
- 9.2 음악(감정의 증폭 발생)과 이미지로 시너지를 발생시켜라.
- 9.3 음악으로 스토리를 살려라.
- 10 여유처럼 교묘하고 사자처럼 강한 정보 전달, 심리 표현 방식
- 10.1 모든 정보를 소중히 여겨라.
- 10.2 정보를 적절하게 전달하라.
- 10.3 심리적 표현을 활용하라.
- 11 (각색) 폭발력 있는 결정적 한 컷과 새 해석이 들어간 마무리는 새로운 담화의 완성이다
- 11.1 진정성의 힘은 강하다.
- 11.2 이야기를 새로 입혀라.
|
edu2014
11가지 법칙으로 끝내는 스토리텔링
(KOCCA 한국콘텐츠아카데미/ 기획/ 2014.06.01. ~ 06.30.)
>> 2014.06.25.(수) ~ 07.15.(화)
강의참고 ; 장상용 지음 <전방위 문화기획자를 위한 스토리텔링 쓰기 - 소설에서 드라마 만화에서 영화까지>
관리자에 의하여 제한된 페이지 이거나 현재 편집 중인 페이지 입니다.
|